Surprise Me!

[경제PICK] 청년 앞지른 노인 취업...'초고령' 진입 초읽기 / YTN

2024-09-20 6 Dailymotion

■ 진행 : 김영수 앵커, 이하린 앵커 <br />■ 출연 : 김기봉 YTN 경제부 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ON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청년 앞지른 노인 취업, 노인들의 일자리가 많이 늘었다는 건데 이거 좋은 거라고 봐야 하나요? 어떤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일하는 노인이 많다는 것, 시각에 따라 달리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일단 현황을 보면요, 65세 이상 고령층의 취업자 수가 사상 처음으로 청년의 취업자 수를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서 청년은 만 15세부터 29세까지를 말하는데, 관련 통계가 시작된 1989년 이후 35년 만에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통계청 집계인데요. 지난 2분기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취업자 수는 월 평균 394만 명으로, 15~29세 청년 취업자 380만7천 명보다 처음으로 많아진 겁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일하는 노인이 30세 미만 젊은이보다 많아졌다는 건데 이유가 뭔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마디로, 노인의 절대 인구 수가 많아진 게 가장 큰 원인입니다. <br /> <br />연령별 취업자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89년 1분기엔 청년층 취업자가 487만4천 명으로 65세 이상 취업자보다 무려 13배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극심한 저출산과 고령화 영향으로 우리나라의 고령층 인구는 점차 늘어나 현재 전체 인구의 20%, 5분의 1에 육박하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주민등록인구 통계가 시작된 1992년 당시에는 우리나라의 고령층 인구가 236만 명으로 청년층 인구의 18%에 불과했습니다만, 지난달 고령층 인구는 천6만 명을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9.6%인데요. <br /> <br />노인 인구가 20%가 되면 '초고령사회'로 분류되는데, 우리나라가 사실상 초읽기에 들어간 상태라고 보면 되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노인 인구 자체가 늘어난 게 가장 큰 원인인데,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못한 노인들이 많기 때문이기도 하겠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다고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문제를 논할 때 '노인빈곤율'이 등장하는데, 66세 이상 노인 가운데 소득이 중위소득에 미치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을 말합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는 이 비율이 40%를 넘어 OECD 회원국 가운데 1위라고 합니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노후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일을 찾는 수요도 많다고 볼 수 있겠는데요, 평균 연금 수령액이 월평균 60만 원대로 적고, 연금을 받을 수 있는 나이도 점점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92017142391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